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어증 원인 유형 증상 (브루스 윌리스 실어증 진단)

by 곰탱이쉐마 2022. 3. 31.
728x90
반응형

미국 배우 브루스 윌리스가 실어증 진단을 받고 연기 호라동을 중단한다고 가족들이 밝혔습니다. 브루스 윌리스 가족들은 "부루스가 건강상 문제를 겪었고 최근 실어증 진단을 받았다. 이것이 그의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브루스는 많은 고민을 통해 그에게 너무도 의미 있는 경력에서 물러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지금은 우리 가족에게 정말 힘든 시기이고, 여러분의 지속적인 사랑과 동정, 지원에 감사드린다"고 전했습니다. 가족들은 그의 실어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실어증이란?

소리를 내는 기관의 뚜렷한 이상이나 의식의 이상 없이 언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병으로

흔희 뇌 손상 후 언어에 대한 이해나 표현에 이상이 생기는 장애 증상을 말하며, 언어가 완성되는 5세~6세 이후에 발생하는 후천적 장애입니다.

 

심리학적인 이유 때문에 말을 못하는 증상과는 다르며, 함묵증(Mutism)이라는 병입니다. 흔히 뇌졸중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그 외 머리의 외상, 뇌암 및 치매로 인해 나타납니다. 

 

실어증 유형

실어증은 증상에 따라 브로카 실어증, 베르니케 실어증, 전도성 실어증, 전실어증 등 4가지 유형이 있으며, '브로카'와 '베르니케'는 뇌에서 각각 언어의 '표현'과 '이해'를 담당하는 부위입니다.

 

1.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

운동성 실어증이라고 하며, 언어의 표현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입니다. 브로카 영역은 전두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 병변이 발생할 경우 실어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2.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 aphasia)

감각성 실어증이라고 하며, 언어를 이해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경우입니다. 베르니케 영역은 축두회에 위치하고 있는 뇌의 공간으로, 이곳에 병변이 생기면 베르니케 실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베르니케 실어증은 수용적-유창실어증적인 증상이 나타나는데, 표현기능은 유지되기에 말 자체는 유창하게 할 수 있어 얼핏 보기에 멀쩡해 보이지만 상대의 말과 글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미없는 말들이 연결되는 식으로 지리멸렬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aphasia)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을 이어주는 공형소속에 병변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며, 환자는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고 문장을 구사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상대방의 말을 따라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4. 전실어증(global aphasia)

뇌의 손상부위가 매우 커 언어에 대한 이해와 표현 모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로, 실어증 중에서도 치료가 가장 어려우며 우측 편측마비와 감각의 이상이 동반되게 됩니다.

 

실어증과 함묵증 차이

실어증과 비슷하게 여기는 함묵증은 뇌 신경계나 발성 기관에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심리적인 이유로 인해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정신 장애의 일종으로, 한 마디로 언어를 구사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지만 말을 꺼내지 못합니다.

 

함묵증은 함구증 또는 무언증으로 정신과의 문제로 재활 치료를 하게 되는 실어증과는 달리 심리 치료를 시행하며, 일반적으로 5세 이전에 발병하지만 성인도 극심한 트라우마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있으며, 주로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많이 발병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